Devxplorer – 세상을 분석하는 개발자의 탐험기

IT, 경제, 인물, 건강 – All Explored

Devxplorere 자세히보기

재테크 (Finance)📈💸/입지분석

부동산 입지 평가 기준 : 교통 편의성, 학군, 경제력 수준 등.

데브엑스플로러 2024. 4. 21. 21:27
728x90
반응형

부동산 구매 시 입지 분석은 다양한 이유로 중요합니다. 여러 측면에서 입지를 신중하게 선택하는 것은 향후 부동산 투자의 성공과 주거 환경의 만족도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부동산 입지 평가 기준을 잡고 후보 입지 들을 비교해야 높은 투자 성공 확률을 달성 할 수 있습니다.

입지가 중요한 이유

입지 분석이 중요한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1. 자산 가치 상승:
    • 부동산의 가치는 입지에 크게 의존합니다. 좋은 입지는 장기적으로 부동산 가치의 상승에 기여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잘 선택된 입지는 잠재적 임대 수입을 증가 시키거나 부동산 자체의 가치 상승을 통해 자본 수익률을 향상 시킬 수 있습니다. 대기 수요가 항상 있기 때문에 가격 방어가 잘 이루어집니다.
  2. 환급성 :
    • 잘 선택된 입지는 재 판매 시 높은 잠재적 수요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좋은 입지에서 구매한 부동산은 시장에서 더 높은 가격에 팔리기 쉽습니다. 상승이나 하락시에도 항상 대기 수요가 존재 하기 때문에, 환급성이 좋습니다.
  3. 삶의 만족도:
    • 입지는 주거 환경의 품질과 직결됩니다. 교육, 교통, 편의 시설, 안전 등이 좋은 입지를 형성하며, 이는 주거자의 삶의 질을 향상 시킬 수 있습니다.

따라서 자산의 가치를 지키고, 더 나아가 가격 상승을 기대한다면, 좋은 입지를 선택해야 합니다.

부동산 입지 평가 기준

좋은 입지 부동산은 위에서 말한 바와 같이 자산 가치 상승을 기대 할 수 있고, 많은 잠재적인 대기 수요로 인해 유동성을 확보하여 환급성에 유리하며, 실거주 만족도가 높습니다. 이러한 좋은 입지 부동산을 선택하기 위해 입지 평가 기준이 필요 합니다. 다음은 부동산 입지 분석 시 고려해야 할 주요 평가 기준들 입니다.

교통 편의성:

대중 교통 시설, 도로 네트워크, 교통 체증 등을 고려합니다. 학교, 병원, 쇼핑몰, 은행 등과의 근접성을 확인합니다. 교통이 좋은 곳에 좋은 일자리와 편의시설이 존재 합니다. 최근 지하철 노선도를 보면 2호선 라인이 교통의 핵심지라고 보여주는 것 같습니다.

학군:

주변 학교의 평판과 품질을 고려하여, 학업 분위기를 파악합니다. 고등학교 대입 입학률 및 학업 성취도, 주변 교육 환경을 확인 합니다.

경제력 수준:

해당 지역의 소득 수준을 확인합니다. 주변 지역의 경제 성장 전망과 산업 구조를 살펴봅니다. 주변에 기업이나 사업이 많이 위치해 있는지 확인합니다. 삼성 전자가 위치한 메탄동의 평균 연봉이 1억 3천입니다. 그렇다고 해서 이 주변 학군이 우수하진 않습니다. 학군과 경제력이 반드시 연관관계를 갖는 것은 아닙니다. 호갱노노에서 지역별 소득 수준 파악이 가능하다. 사업체 소재지 기준으로 잡힌다.

환경 요인:

주변 환경: 쾌적한 환경, 공원, 자연 경치 등이 부동산 가치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인구 특성:

인구 조사 및 통계를 통해 전입 전출 인구를 파악합니다.

미래 전망:

해당 지역의 미래 전망을 고려하여 장기적인 투자 가치를 판단합니다.

안전성:

주변 지역의 범죄율 통계를 확인하고 안전한 동네인지 파악합니다.

주택 공급량:

해당 지역에 주택 공급량을 살펴봅니다. 신규 분양이 적을 수록 전세값 방어가 쉽고 이는 매매가를 방어해주는 요소가 됩니다.

교통 편의성과 학군, 경제력은 서로 연관성이 높습니다. 교통 편의성이 높은 지역일수록 양질의 일자리가 많고 그에 따라 소득 수준이 높아 경제력을 갖추게 된다. 경제력이 있는 지역에서 사교육이 발생하고, 자연스레 학군지가 형성 됩니다. 이 중 부동산 입지 평가 기준 3개를 뽑으라면, 교통편의성, 학군, 경제력 수준을 뽑을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이러한 기준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부동산 매매 시 입지를 분석하면 높은 투자 성공 확률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